엑셀을 이용해서 다양한 작업들을 하다보면 여러 엑셀창 두개 혹은 그이상 여러개를 열어야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하지만 기존의 엑셀 시트에 겹쳐서 실행되는 분들이 종종 있습니다. 그런분들은 아마 엑셀 버전이 2007 이상의 버전을 사용하실거라고 생각이 되는데 그때부터 엑셀창 분리 가 잘 되지않는분들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간단하게 엑셀창 분리 를 통해 하려던 작업을 더욱 정확하고 쉽게 할수있도록 안내를 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엑셀창 분리 작업을 하기위해서는 레지스트리에서 기본 옵션을 엑셀을 여러개 열수있도록 변경해주는 방법과 생각보다 단순한 방법이 있는데 두가지 모두 안내해드리겠습니다.
우선 가장 엑셀 작업을 자주 하지는 않는 분들을 위해 간단한 방법을 먼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우선 작업하려고하는 엑셀 파일을 실행해주시면 첫번째 엑셀창을 열어둘수가 있습니다.
이후에는 시작메뉴를 통해 엑셀창을 새로 켜주신뒤 작업하려는 두번째 엑셀 파일을 열어주시면 간단하게 엑셀창 분리 를 통해 원하는 작업을 진행하실수가 있습니다.
[ 실행창 : Win 키 + R ]
두번째 방법은 지속적으로 엑셀창 두개 혹은 엑셀창 분리 작업을 설정값으로 지정해두어 첫번째 방법을 사용하지 않고도 분리된창을 이용할수있는 방법인데요, 실행창을 여신뒤 "regedit" 을 입력해주시고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레지스트리 편집기가 켜지게되면 아래의 경로 순서대로 이동을 해주시면 됩니다.
컴퓨터 > HKEY_CLASSES_ROOT> Excel.Sheet.12> shell> Open> ddeexec(폴더 삭제)
순서대로 이동해주신뒤 마지막 하위 메뉴인 ddeexec 폴더를 우클릭을 통해 삭제버튼을 눌러 제거해주시면 됩니다.
ddeexec 폴더를 삭제 해주셨다면 다음은 바로 위에 있던 폴더인 command 폴더 안에 있는 세부 command 를 마우스 우클릭 해주신뒤 삭제를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삭제를 완료하셨다면 이렇게 그림처럼 기본값 항목만 남아있으실텐데요, 다시한번 기본값에 마우스 우클릭을 눌러주시고 수정 항목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수정 항목에 들어오시면 위쪽 문자열 편집 항목처럼 마지막 부분이 /dde 로 끝나는것을 확인하실수 있으실텐데요, 그 값을 지우고 /en "%1" 으로 변경해주신뒤 확인버튼을 눌러주시면 엑셀창 분리 작업셋팅이 완료가 되어집니다.
지금까지 엑셀창 분리 엑셀창 두개 여는 방법 2가지를 알아보았는데요, 엑셀을 자주 사용하지는 않지만 분리작업을 하시는 분이라면 첫번째 방법을 추천드리고 업무상 엑셀을 자주 사용하시는분들은 레지스트리 편집을 통해 설정값을 맞춰두시고 지속적으로 이용하면 더욱 편리한 엑셀 작업이 될거라고 생각합니다.
'컴퓨터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크온 게임소리 설정 방법 안내 (0) | 2018.02.24 |
---|---|
하마치2 다운 바로가기 (0) | 2018.02.21 |
윈도우10 디펜더 끄기 방법안내 (0) | 2018.02.15 |
스크래치 2.0 설치 안내 (0) | 2018.02.14 |
imagesaferfilter.dll 오류 해결방법 (0) | 2018.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