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코드 자동실행 해제방법

여러 프로그램들을 컴퓨터에 깔게되면 대부분의 프로그램이 그런것은 아니지만 일부 몇몇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실행시 자동실행이 되어지는 프로그램들이 있는데요, 그런 프로그램들 중에서 디스코드 자동실행 설정하는방법 및 해제하는 방법을 안내해드리려고 합니다.



디스코드를 설치하고나면 자동적으로 윈도우가 실행되면서 함께 실행이 되어지도록 설정이 되는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디스코드를 자주 사용하시는게 아니라면 컴퓨터를 켤때마다 다시 종료를 해주는 번거로운 작업을 반복해야만 하는데 디스코드 프로그램 뿐만아니라 다른 모든 자동실행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해결방법을 함께 적용할수있는 그런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디스코드 자동실행 해제를 하기 위해서는 디스코드 자체 설정이 아닌 컴퓨터 작업관리자를 실행해주셔야 하는데요, 작업관리자라고하면 생소하게만 느껴지시는 분들이 있으실텐데 [ Ctrl + Alt + Delete ] 키를 누르면 나오는 창을 작업관리자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컴퓨터를 사용하면서 작업관리자 한번쯤은 켜보셨을텐데 작업관리자에 디스코드 자동실행 해제할수있는 기능이 숨겨져있다는 사실은 잘 모르시는분들이 많이 계실거라고 생각합니다.



작업관리자 상단 메뉴들에 보시면 시작프로그램 이라는 메뉴항목이 있는데 해당 항목으로 들어가주시면 되겠습니다.



시작프로그램 항목에서 보시면 디스코드를 비롯해 저는 아이튠즈, 카카오톡, 알약 등 여러 프로그램이 시작프로그램에 등록이 되어져있었는데요, 우선 디스코드 항목을 우클릭 해주신뒤 사용안함 으로 체크해주시면 시작프로그램에서 제외가 되어 컴퓨터를 재부팅해도 직접실행하기 전까지는 켜지지않게 됩니다.



이렇게 디스코드 자동실행 해제 방법을 알아보았는데 만약 본인이 다른 프로그램들도 컴퓨터가 부팅되었을때 자동실행 되는것을 막고싶다면 같은 방법으로 해당 프로그램을 찾아 사용안함을 선택해주시면 되겠습니다.